동방미디어 주식회사

KoreaA2Z
메뉴 검색

제품소개
Product Descriptions

  • 풍수사상의 이해
    제1강 풍수지리의 개념 정의 제2강 공간과 좌향의 미학으로서의 풍수지리 청룡/백호/주작/현무/ 명당의 원리와 체계 및 그 현대적 의의 제3강 풍수지리와 우리 문화유산의 이해 남근석, 장승, 돌탑(조탑), 정자, 서낭당, 당산나무, 비보사찰의 존재이유 제4강 풍수지리의 실용적 수용 :서구 인테리어 풍수 미국과 독일의 인테리어 풍수 현황과 그 구체적 내용 : 실내 및 사무실 배치 국내 건축, 조경학에서의 풍수 수용 제5강 조선조 풍수 논쟁을 통해서 본 풍수지리 경복궁(청와대 포함) 명당 논쟁, 독녀혈(과부골) 논쟁, 단종 어머니 무덤 논쟁 제6강 명당 발복의 문제 삶과 죽음의 미학으로서의 풍수지리 풍수지리의 핵심이론 - 동기감응의 2차원적 구조 명당 발복의 문제 기독교/유교/불교의 생사관과 풍수지리 제7강 권력과 풍수의 사회학 역대 대통령들의 풍수관 및 그들의 생가 및 조상묘를 통해서 본 대통령들의 풍수 인식 제8강 묘지 풍수 묘지 풍수에서 말하는 명당의 모습 중국의 성현 주자와 정자의 음택 풍수론 제9강 주택 풍수 풍수에서 말하는 명당 집터 : 녹우당(전남)/화회마을(경북)/양동마을(경북) 제10강 역대 도읍지 및 천도론과 풍수 논쟁 서경/개경/계룡산/한양/무악/교하천도론 남북 통일후의 새 수도는? 제11강 환경운동과 풍수지리 전통환경사상으로서의 풍수지리 서구의 가이아 이론과 카오스 이론 풍수지리의 물형론(형국론)과 환경운동 제12강 {훈요십조}와 {성호사설}의 전라도론에 대한 풍수지리학적 고찰 제13강 문학과 풍수지리 이청준의 , 송기숙 , 최명희 등 텍스트에 나타난 풍수 의식 제14강 동아시아 고유담론으로서의 풍수지리와 아나키즘 인류학자 와타나베 교수 주장/중국 시인 도연명의 [도화원시 병기(倂記)]의 풍수적 해석 제15강 고려 이후 현재까지의 명풍수 이야기 20세기 이전 명풍수 : 도선/묘청/신돈/하륜/무학/목효지/최양선/이의신/박상의 /윤선도/정조 임금 해방 이후의 풍수학인 : 배종호/ 최창조 제16강 강의 총정리 강의중에 학생들로부터 제기된 질문과 반론들 가운데 공통적이면서 핵심적인 문제들에 대한 정리
    GO
  • 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제1강 생명, 살림, 모심의 미학 원리 강의 오리엔테이션 김지하의 생명사건론」읽기 생명, 살림, 모심의 미학 원리 제2강 생명운동의 전개와 역설의 미학 생명운동의 종류와 내용 후천개벽 모심의 미학 사(事)와 동사(同事) 역설의 미학: 추, 그늘, 한, 고리 제3강 동서양의 과학과 미학의 관계 수학적인 것과 신비한 것, 예술과 과학 우주공동주체성의 원리 자기조직화, 내부 공생의 원리 문예부흥의 과학적 원리: 재진화 제4강 율려 또는 여율과 카오스모스 자기조직화와 카오스모스 동학우주론 역철학: 주역과 정역 율려 또는 여율과 카오스모스 예술과 생명과 과학 사이의 관계 제5강 역철학의 태극구조 이중적 교호결합 불연기연(不然其然)과 마고성 율려의 우주관, 삼태극 중국 음악에 스민 삼태극의 원리 삼태극의 춤 제6강 우리 민족미학의 핵심 3-9-81, 3과 2, 1-3-5-7-9 무현금의 미학 풍류의 미학 접화군생의 미학 흰 그늘: 신령한 리얼리즘 제7강 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1 그늘, 미적 운취 칼 융의 그림자론 전통예술의 미학적 조건 지구 생태계의 위기와 빛과 그늘 인간과 우주의 관계 제8강 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2 흰 그늘과 붉은 악마 3분박 플러스 2분박의 의미 엇박, 치우천황, 태극기 영적인 신체학 고리의 미학 생명철학, 생명예술의 미래를 향해
    GO
  • 감각론으로서의 미학
    ㆍ제1강 고대 그리스의 감각론 - 고대에서 근대까지의 아이스테시스 - 바움가르텐과 근대미학의 원형 - 시각과 청각의 특권적 지위 - 감각의 위계질서 - 탈근대: 촉각의 부상 - 고대 그리스 감각론의 특징 - 데모크리투스의 감각론: 감각과 이성의 분리 ㆍ제2강 플라톤의 감각론 - '기관’의 탄생 - 『티마이오스』: 감각들의 위계 - 시각의 특권 - 원소와 감각 ㆍ제3강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론 - 감각-영혼의 기관 - 오감의 확립과 위계질서 - 수용기관으로서의 감각 - 감각 기관과 대상 사이의 관계 - 본질적 감각대상과 우연적 감각대상 - 아리스토텔레스의 매질론 ㆍ제4강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감각론 - 그리스인의 쾌락의 활용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오감의 문제 ① 시각/청각/후각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오감의 문제 ② 촉각/미각 - 중세 기독교 철학과 감각론 -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ㆍ제5강 감각론의 관점에서 본 서양미술사 I - 회화의 두 요소: 형과 색 - 시점과 앵글 - 객관적 비례와 제작적 비례 ① 이집트 시대, ② 그리스 시대, ③ 중세 시대 ㆍ제6강 감각론의 관점에서 본 서양미술사 Ⅱ - Pre-Production - * 슬라이드 감상 - ④ 르네상스 시대: 객관적 비례 - 르네상스 시대의 원근법 - 르네상스 예술의 특징 - 시나리오란? - * 슬라이드 감상 - 감각론의 관점에서 본 서양미술사 ㆍ제7강 근대의 감각론 I - 감각, 상상력, 정념의 배제 - 급진적 합리주의 - 고전주의 예술의 합리성과 명확성 - 사유실체와 연장실체 - 고전주의 회화: 촉지적, 시각적 - 바로크 회화: 회화적, 시각적 - 형과 색의 대결 ㆍ제8강 근대의 감각론 Ⅱ - 고전주의와 생체권력 - 고전주의의 요구: ① 점잖음, ② 진리충실성, ③ 합리적 규칙 체계 - 절대주의 국가의 미학 강령 - 근대 미학과 탈근대 미학 - 고시각에서 촉각으로 ㆍ제9강 현대의 감각론 - 모더니즘: 매체 자기 반성의 시대 - 평면성, 추상성, 광학성 - 절대주의 국가의 미학 강령 - 촉각의 부활: 미니멀리즘 - 프랜시스 베이컨: 감각의 폭력 ㆍ제10강 들뢰즈의 감각론 -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 - 힘 - CsO = 기관 없는 신체 - 히스테리 - 신에스테지아 - 얼굴 지우기 - 동물-되기 - 만지는 눈 ㆍ제11강 매체와 감각 I - 발터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 사진과 영화의 등장: 시각에서 촉각으로 - 아도르노의 매체론 - 귄터 안더스의 매체론 ㆍ제12강 매체와 감각 Ⅱ - 마샬 맥루언의 매체론 - 감각의 시뮬레이션 - 실제 감각과 가상 감각의 존재론적 차이 - 폴 비릴리오의 매체론 - 미래의 인간 = 사이보그?
    GO
  • 네가지 테마로 보는 철학
    ㆍ제1강 고중세의 선과 악 I - 옳음과 그름, 좋음과 나쁨 - 그리스적 善=좋음 - ‘~다움’의 문제 ㆍ제2강 고중세의 선과 악 Ⅱ - 헬레니즘 시대의 유물론적 사고 - 헬레니즘적 善=쾌락/기쁨 - 기독교적 善=옳음 - 동북아 전통의 善과 不善 ㆍ제3강 근현대의 선과 악 I - 칸트의 도덕법칙 - 파스칼의 내기와 ‘요청’ - 정언명법과 가언명법 - 아이히만 사건: 보편성 문제 ㆍ제4강 근현대의 선과 악 Ⅱ - 양태들-속성들-신 - 변양과 감응, 합생과 분해 - 스피노자: ‘좋은 만남’의 철학 - 칸트 도덕철학과 스피노자 윤리학의 차이점과 난점 - 니체: 귀족의 가치와 노예의 가치 ㆍ제5강 국가와 법 I - 퓌지스에서 노모스로 - 플라톤 『국가』에서의 정의론 ㆍ제6강 국가와 법 Ⅱ - 트라쉬마코스의 정의론 - 플라톤의 이상 국가 - 홉스와 루소의 정치철학 ㆍ제7강 국가와 법 Ⅲ - 자유주의와 맑시즘 - 탈국가 시대의 국가와 법 - 알튀세: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들 ㆍ제8강 국가와 법 Ⅳ - 미셸 푸코: 지식-권력들 - 들뢰즈와 가타리: ‘-되기’ - 네그리와 하트: 꼬뮤니즘
    GO